KAC

Korea Univ. Graduate School of Art & Design

Department of Art & Culture

About KAC

The Department of Art and Culture at the Graduate School of Korea University (KAC) perceives ‘Art,’ ‘Culture,’ and ‘Aesthetics’ not as separate entities, but rather as an integrated concept. Based on this understanding, KAC aims to explore Contemporary Convergence Art, encompassing both the foundations of traditional arts, such as painting and sculpture, and the broader scope of contemporary and 21st-century new media arts.

KAC is committed to cultivating new convergence artists and advancing creative culture and the arts, guided by key principles of the 21st-century zeitgeist: experimentation, diversity, multisensory experiences, sustainability, and immersion. The convergence artists nurtured within our program are called ‘Kacs,’ and they are art creators who not only engage in artistic creation but also play pivotal roles in the fields of planning, appreciation, policy development, and industry, thus creating ‘integrated artistic experiences.’

고려대학교 일반대학원 조형문화예술전공(KAC, Korea University Art and Culture)은 ‘조형’, ‘문화’, ‘예술’을 개별적으로 구분하지 않고, 이를 하나의 통합적 개념으로 인식합니다. 이에 따라, KAC은 회화와 조소 등 전통적인 예술의 기초를 바탕으로 동시대 예술과 21세기 뉴미디어 예술을 포괄하는 ‘동시대 융합 예술(Contemporary Convergence Art)’을 지향합니다.

KAC은 실험성, 다원성, 다감각성, 지속가능성, 몰입성이라는 21세기 시대정신을 반영한 키워드를 중심으로, 새로운 융합 예술인의 육성과 창의적 문화예술의 발전을 목표로 합니다. 우리 전공에서 양성된 융합 예술인들은 ‘Kacs(칵스)’라 불리며, 그들은 창작뿐 아니라 기획, 향유, 정책, 산업 등 문화예술의 모든 분야에서 활약하며 ‘융합적 예술 경험’을 창조하는 아트 크리에이터들입니다.

We Are in Open Circuits

Nam June Paik

Based on the spirit of 21st-century contemporary thought, the four areas of study—Painting, Sculpture/Installation, Media, and Art Theory—are closely interconnected within the curriculum.

Painting not only deepens the creation and appreciation of both Eastern and Western painting but also aims to explore expanded realms of painting through innovative approaches in contemporary art.

Sculpture/Installation builds upon the foundations of three-dimensional art and expands into installation art using a variety of mixed media, focusing on discovering and broadening the significance of new three-dimensional aesthetics.

The Media field integrates traditional media such as photography and video with cutting-edge technologies like artificial intelligence (AI), big data, the metaverse, and the Internet of Things (IoT). It focuses on the creation of integrated works of art that span new media art content, software, and hardware, as well as research into audience engagement.

Art Theory is an essential field for establishing the theoretical foundation for the art producers that the Department of Art and Culture at Korea University aims to cultivate. It seeks to establish diverse perspectives on art that can interpret 21st-century phenomena, ranging from advanced Eastern and Western aesthetic theories to contemporary media aesthetics, the philosophy of technology, and theories of public and socially engaged art.

21세기 동시대 정신을 바탕으로, ‘회화, 조소·설치, 미디어, 문예이론’의 네 개 분야는 긴밀하게 연계된 교육과정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회화는 동양화와 서양화의 창작과 감상의 심화를 넘어서, 동시대 미술로서의 새로운 시도를 통해 확장된 회화의 영역을 탐구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조소·설치는 입체미술의 기초를 바탕으로 다양한 혼합 재료를 활용한 설치미술로 확장하며, 이를 통해 새로운 입체미학의 의미를 발견하고 확장하는 데 중점을 둡니다.

미디어 분야는 사진, 비디오 등 전통적인 미디어와 더불어, 인공지능(AI), 빅데이터, 메타버스, 사물인터넷(IoT) 등의 첨단 과학기술을 활용한 뉴미디어 예술 콘텐츠, 소프트웨어, 하드웨어를 아우르는 통합적 작품 창작과 관객 연구를 지향합니다.

문예이론 분야는 우리 조형문화예술학의 예술 프로듀서들이 이론적 기반을 확립하는 데 필수적인 영역입니다. 심화된 동서양 미학 이론부터 최신 미디어 미학, 기술철학, 공공미술 및 사회참여 예술 이론에 이르기까지, 21세기 현상을 해석할 수 있는 다양한 예술적 관점을 확립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KAC LAB

Our graduate program is centered around ‘labs’, which serve as hubs for cultural and artistic exploration, providing both research and educational experiences. The professors, who are the investigators in these labs, also act as facilitators, guiding and supporting the research and learning of graduate students. KAC Lab serves as a field where professors and graduate students come together to realize collaborative cultural and artistic activities through communication and cooperation.

In KAC Lab, members conduct individual research while simultaneously pursuing joint research and industry-academia collaborations, aiming to achieve a balanced cultural and artistic creation and appreciation for both individuals and groups in the 21st century. Additionally, KAC Lab is connected with the Art Education major of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fostering not only fine art education but also innovative convergence art education research and practices, pursuing a deep integration between creation and education.

우리 대학원 과정은 문화예술탐색 기지인 ‘연구실(lab)’ 중심으로 연구와 교육 경험을 수행하는 형태이며 연구실의 탐색자(investigator)인 교수들은 동시에 대학원생들의 연구와 학습의 조력자(facilitator)의 역할을 한다. 조형문화예술전공 연구실(KAC Lab)은 구성원인 교수들과 대학원생들이 함께 모여 소통과 협동을 바탕으로 한 문화예술 협업 활동을 실행하는 장(場, field)이다. KAC Lab에서 각 구성원들은 개개인의 문화예술 연구를 진행하는 동시에 연구실의 공동연구를 수행하고, 관산학 연구를 추진함으로써 21세기 개인과 그룹에 의한 균형 있는 문화예술 창작과 향유를 시도한다. KAC Lab은 본교 교육대학원 미술교육전공과 연계되어 순수 미술 교육뿐만 아니라 새로운 융합 예술 교육 연구와 실행을 지향하며, 창작과 교육의 깊은 연계도 함께 추구한다. 

Academic Program

The KAC curriculum emphasizes experimentation, diversity, multisensory engagement, sustainability, and the ability to immerse oneself in and enjoy art. Based on these objectives, KAC aims to cultivate contemporary convergence artists (Kacs). To achieve this, the curriculum is structured around four key areas: Painting, Sculpture & Installation, Media, and Art Theory, with each area organically linked and integrated through foundational, advanced, and collaborative courses.

These four areas, along with the foundational-advanced-collaborative course structure, do not function as independent frames but are interconnected in a complementary manner, fostering 21st-century convergence thinking and creativity in art. Additionally, KAC has developed a curriculum closely connected with the art world through collaborative education with various professionals such as museum directors, curators, critics, and art journalists. KAC also places special emphasis on nurturing art curators. Through collaborative research between aspiring artists and curators, KAC aims to produce Kacs who will lead the future of the art world.

KAC 커리큘럼은 실험성, 다원성, 다감각성, 지속 가능성, 그리고 몰입을 통해 예술을 즐겁게 경험하는 능력을 강조하며, 이러한 목표를 바탕으로 동시대 융합 예술가(Kacs)를 양성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이를 위해 KAC의 교육과정은 ‘회화, 조소·설치, 미디어, 문예이론’의 네 개 분야로 구성되며, 각 분야는 기초-심화-협업 과정으로 유기적으로 연계되어 융합됩니다.


이 네 개의 분야와 기초-심화-협업 과정은 서로 독립된 프레임이 아닌 상호보완적 융합 관계를 형성하며, 21세기 동시대 융합 예술 사고와 창의력을 배양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습니다. 또한, KAC은 예술 기관 디렉터, 큐레이터, 평론가, 예술 기자 등 다양한 전문가들과의 긴밀한 협력 교육을 통해 예술 현장과 밀접하게 연결된 교육 과정을 제공합니다. 특히, KAC은 예술 기획자 양성에 주목하고 있으며, 창작자와 기획자가 협업하여 연구 활동을 수행함으로써, 예술 현장을 선도하는 Kacs를 배출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KAC 동시대 융합 예술 교육과정

Director

이예승 YeSeung LEE

YeSeung LEE explores the boundaries between the virtual and the real through various media such as drawing, installation, and interactive media, investigating the form and possibilities of media. She is deeply interested in how humans perceive contemporary society and confront social phenomena within media environments created by physical devices like light, shadow, and interaction sensors. Through these media experiments, she extends her research to areas such as human self-awareness in the face of advancing technology, the expansion of human senses, and the evolving relationships between humans and objects.

In particular, she focuses on combining Eastern philosophy and traditional Oriental painting techniques with cutting-edge media technologies such as interactive art, artificial intelligence (AI), augmented reality (AR), and virtual reality (VR) to explore various phenomena that emerge within the media environment of contemporary society. Her artistic research aims to investigate new experiences and perceptions that arise at the intersection of technology, humans, and media.

After receiving both a bachelor’s and master’s degree from the College of Fine Arts at Ewha Womans University, Lee earned a master’s degree from the School of the Art Institute of Chicago(SAIC). She has been actively engaged in artistic practice through various residencies, including the Changdong Residency of the National Museum of Modern and Contemporary Art(MMCA)(2011), the Nanji Art Studio(SeMA) (2013-2014), the Geumcheon Art Factory(2015), and the Asia Culture Center(2016). She also served as a researcher at Hyundai Motors’ ZER01NE LAB(2019–2020). Currently, Lee is an assistant professor in the School of Art & Design at Korea University, where she researches and teaches in the fields of Art & Technology and Contemporary Art. Her courses, including <New Media Art>, <Media and Spac>e, <Basic Media Studies>, <Individual Creative Research>, and <Contemporary Art Workshops>, integrate both theory and practice in a transdisciplinary manner. She has received the Teaching Excellence Award four times, from 2019 to 2023 at Korea University.

Her notable main projects include Wayusoyo: Singularity (2023, DDP BtheB) and the Ars Electronica Global Project: Variable Scape (2019, Hyundai Motorstudio). She has also participated in numerous curated exhibitions across the United States, Japan, Europe, and Korea, including the KIAF SEOUL Media Art Special Exhibition (2023, COEX, Korea), the overseas tour of Hangeul Experiment Project: Modern Hangeul Research Institute (2023, Beijing, Japan, Hong Kong), Daejeon Science and Art Biennale 2022: Future City (2022, Daejeon Museum of Art), and Korea: Cubically Imagined (2022, Chelsea Industrial, New York).

In 2020, her work ‘JongJungDong•DongJungDong’ was selected as the winning entry for the Seoul Media Art Project, leading to an exhibition at K-POP Square Media. Her works are held in collections at the National Museum of Modern and Contemporary Art, the National Asia Culture Center, the Korea Creative Content Agency, and other institutions.

이예승은 드로잉, 설치, 인터랙티브 미디어 등 다양한 매체를 통해 가상과 현실의 경계를 넘나들며 매체의 형식과 가능성을 탐구한다. 빛, 그림자, 인터랙션 센서 등 물리적 장치가 만들어내는 미디어 환경에서 인간이 직면하는 사회적 현상과 동시대를 인식하는 방식에 깊은 관심을 두고 있다. 그는 이러한 매체적 실험을 통해 기술의 발전이 가져오는 인간의 자의식, 확장된 감각, 그리고 인간과 사물 간의 관계성에 대한 연구로 영역을 확장해가고 있다.

특히, 동양철학과 전통 동양화의 기법을 최신 미디어 기술인 인터랙티브 아트, 인공지능(AI), 증강현실(AR), 가상현실(VR) 등과 결합하여 현대 사회의 미디어 환경 속에서 나타나는 다양한 현상들을 탐구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다. 그의 예술적 연구는 기술과 인간, 그리고 매체가 교차하는 지점에서 발생하는 새로운 경험과 인식을 탐구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화여자대학교 미술대학에서 학사와 석사 학위를 취득한 후, 시카고예술대학교(School of the Art Institute of Chicago, SAIC)에서 석사 학위를 받았다. 이후 국립현대미술관 창동 레지던시(2011), 난지미술창작스튜디오(2013-2014), 금천예술공장(2015), 국립아시아문화전당(2016) 등에서 활발하게 작품 활동을 펼쳤으며, 현대모터스 ZER01NE LAB(2019~2020) 연구원을 역임했다. 현재 고려대학교 디자인조형학부에서 조교수로 재직 중이며, 아트 앤 테크놀로지(Art & Technology), 현대미술(Contemporary Art) 분야를 연구 및 교육하고 있다. 특히, <뉴미디어아트>, <미디어와 공간>, <기초매체연구>, <개별창작연구>, <현대미술워크숍> 등 융복합적인 이론과 실기를 기반으로 한 수업을 담당하고 있으며, 2019년부터 2023년까지 네 차례 우수강좌상을 수상했다.

주요 프로젝트로는 ‘와유소요(臥遊逍遙): Singularity’ (2023, DDP BtheB)와 ‘Ars Electronica 글로벌 프로젝트: 변수풍경’ (2019, 현대모터스튜디오) 등이 있으며, ‘KIAF SEOUL 미디어아트 특별전’ (2023, 코엑스), ‘한글실험프로젝트: 근대한글연구소’ 해외 순회전 (2023, 베이징, 일본, 홍콩), ‘대전과학예술비엔날레 2022: 미래도시’ (2022, 대전시립미술관), ‘한국: 입체적 상상(Korea: Cubically Imagined)’ (2022, 뉴욕 첼시 인더스트리얼) 등 미국, 일본, 유럽, 한국 등의 다양한 기획전에 참여하여 주목받았다.

2020년에는 ‘정중동(靜中動)•동중동(動中動)’으로 서울 미디어아트 프로젝트 최종 당선자로 선정되어 K-POP 스퀘어 미디어에서 작품을 전시하였고, 그의 작품은 국립현대미술관, 국립아시아문화전당, 한국콘텐츠진흥원 등 여러 기관에서 소장하고 있다.

이 준 Zune Lee

Zune Lee is an artist, researcher, educator, and designer who seeks to discover novelty and change the world by superimposing and fusing various fields. His work has significantly influenced the fields of art, design, and education, and his unique approach to interdisciplinary collaboration has sparked new ideas and perspectives.
As an artist, Lee has been a pioneer in presenting a visionary concept of ‘nature-human-machine communication and ensemble’ since 2001. His groundbreaking work began with “Trialogue”, the first creative support project of Art Center Nabi.
Interested in the co-evolution of humans and non-humans, multidisciplinary art, and social critique of art, Lee has been invited to participate in numerous biennials, including the Seoul International Media Art Biennale (Seoul Museum of Art) and TransLife International New Media Art Triennale (The National Art Museum of China, Beijing), as well as special exhibitions at major museums in Korea, including Total Museum of Art, Samsung Museum of Art(Leeum), ARKO Art Center, SAVINA Museum of Contemporary Art, National Museum of Modern and Contemporary Art, and Alternative Space Loop.
As an interdisciplinary educator, Zune Lee has significantly contributed to the academic field. He has taught convergence courses in physical computing, interaction design, visual programming, and new media art at Seoul National University, Hongik University,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Arts, etc. In 2010, he became the founding director of the Department of Digital Design at Daegu Catholic University, where he established and led the ‘Design×Technology’ convergence program for about 14 years. He is currently an associate professor at the School of Art and Design at Korea University.

이준은 다양한 분야를 중첩하고 융합함으로써 새로움을 발견하고 이를 토대로 시대의 변화를 추구하는 예술가, 연구자, 교육자, 그리고 디자이너이다.

예술가로서 이준은 2001년 아트센터 나비의 첫 창작지원 프로젝트인 <Trialogue>를 발표하며 ‘자연-인간-기계의 소통과 앙상블’의 비전을 제시해왔다. 인간과 비인간의 공진화, 다원예술, 예술의 사회적 비평 등에 관심을 가져온 이준은 ISEA2009(벨페스트), 서울국제미디어아트비엔날레(제5회, 제7회, 서울시립미술관), TransLife 국제뉴미디어아트트리엔날레(국립중국미술관, 베이징) 등 다수의 비엔날레와 토탈미술관, 삼성미술관리움, 아르코미술관, 사비나미술관, 국립현대미술관, 대안공간 루프 등 국내 주요 미술관 기획전시에 초대된 바가 있다.

다학제 융합교육자로서 그는 서울대, 홍익대, 한예종 등 다수 대학교에서 피지컬컴퓨팅, 인터랙션디자인, 비주얼프로그래밍, 뉴미디어아트 등 ‘예술×디자인×기술’ 융합 과목들을 강의하였다. 2010년 대구가톨릭대학교 디지털디자인과의 파운딩 디렉터로 부임해 ‘디자인×기술’의 융합디자인 프로그램을 설립하고 약 14년 동안 리드해왔고, 현재 고려대학교 디자인조형학부 부교수로 재직하며 후학을 양성하고 있다.

error: Content is protected !!